#미국 사업가 #19세기 미국 #성공스토리 #석유왕 #존 D. 록펠러 #자본주의 #석유회사 #John D. Rockefeller #세계 최초 억만장자 #스탠더드 오일
스미스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존 D. 록펠러는 누구인가?
존 데이비슨 록펠러(John D. Rockefeller, 1839~1937)는 현대 자본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기업가이자 세계 최초의 억만장자입니다. 그는 석유 산업을 지배하며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이라는 회사를 설립,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록펠러는 미국 역사에서 가장 논란이 많았던 기업가 중 한 명으로, 오늘날 대기업의 경영 전략과 자본 축적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의 이름은 부와 성공, 동시에 독점과 불공정 거래를 떠올리게 합니다.
록펠러의 초기 생애와 성공 과정
1839년, 존 D. 록펠러는 뉴욕 북부의 ‘리치포드’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훗날 미국 역사상 가장 부유한 사람이 된 록펠러의 유년시절은 특별하진 않았습니다. 록펠러 본인은 자신을 “흙수저”였다고 묘사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록펠러 가족은 크게 가난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그의 아버지 윌리엄 록펠러가 약간의 사기꾼 기질이 있는 이동식 세일즈맨으로, 가족의 경제적 안정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습니다. 반면 그의 어머니 엘리자는 검소하고 종교적인 생활을 하며 아이들을 키우고 가계를 책임졌습니다.
록펠러는 16살에 가족과 함께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로 이사했습니다. 닭을 키워 번 돈을 저축하며 투자 개념을 익혔는데, 이는 이후 그의 비즈니스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록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기회를 찾아 스스로 성장해 나갔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록펠러에게 자립심과 실용주의를 심어주었고, 이는 그가 사업가로서 성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1. 초기 경력: 농산물 중개 상점의 경리직원
록펠러는 클리블랜드로 이사한 후 농산물 중개 상점인 휴잇 & 터틀(Hewitt & Turtle)에서 근무했습니다. 이 상점에서 회계장부를 기입하며 상업과 재정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을 쌓았고, 그 후 중개 사업을 시작하며 사업가로서의 경로를 걷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나중에 석유 산업에 뛰어들어 막대한 부를 쌓는 데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습니다.
2. 1870년: 스탠더드 오일 설립
- 록펠러는 1859년 펜실베니아에서 석유 광맥이 발견되자, 1862년 클리블랜드에서 정유 시설을 인수하고 석유 사업에 뛰어들며 1870년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을 설립했습니다.
- 석유 정제 공정을 혁신하고 철도 운송비를 낮추는 등 적극적인 전략(아래 참고)으로 시장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스탠더드 오일의 전략 :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와 파트너십
- 클리블랜드에서 석유 사업이 막 시작될 무렵, 록펠러는 자신의 석유를 효과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철도 운송망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할 핵심 인물이 바로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였습니다.
- 밴더빌트는 당시 미국 철도 산업을 장악한 인물로, 철도를 통한 물류가 석유 유통의 핵심이던 시기에 그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록펠러는 밴더빌트와의 협력을 통해 경쟁사보다 훨씬 낮은 운송비를 제공받으며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습니다.
- 다큐멘터리 미국을 일으킨 거인들(The Men Who Built America)에서는 두 사람이 만나게 된 배경에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더합니다. 록펠러가 밴더빌트를 만나기 위해 기차를 타야 했는데, 그날 록펠러는 기차를 놓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후, 그가 놓친 기차가 탈선 사고를 일으켰고, 록펠러는 이를 신의 뜻으로 받아들였다고 전해집니다.
- 이후 록펠러와 밴더빌트는 파트너십을 맺어 스탠더드 오일의 석유가 밴더빌트의 철도망을 통해 미국 전역으로 유통될 수 있었습니다. 이 협력은 록펠러가 전국적인 독점 체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마련해 준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3. 1880년대: 미국 석유 시장의 90% 독점
- 스탠더드 오일은 스탠더드 오일은 경쟁사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석유를 공급해 경쟁자를 시장에서 몰아내는 방식으로 성장했습니다.
- 1880년대에 들어서자 경쟁자를 압도하며 미국 석유 시장의 90%를 장악했습니다.
- 독점적인 지위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고 막대한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 이를 본 다른 국가들도 산유지를 찾아 원유를 채굴하기 시작합니다. 바야흐로 ‘석유의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록펠러가 이렇게 미국 석유시장을 거의 다 독점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고안한 리베이트 시스템 때문이었습니다. 리베이트 시스템은 철도 운송 비용에서 대폭적인 할인 혜택을 받는 비즈니스 전략으로, 당시 스탠더드 오일의 경쟁력을 크게 강화했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경쟁사들을 시장에서 몰아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했습니다.
1) 운송비 할인(리베이트)
록펠러는 철도 회사들과 독점적 계약을 맺어 스탠더드 오일이 석유를 운송할 때 운송비를 대폭 할인받는 조건을 협상했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회사들은 배럴당 1달러의 운송비를 지불해야 했지만, 스탠더드 오일은 같은 거리에서 배럴당 50센트만 지불하는 식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록펠러는 생산 비용을 줄이고 시장 가격을 낮출 수 있었고, 이는 곧 경쟁사들을 압박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2) 리베이트의 부가 형태: “상대적 리베이트”
더 나아가, 록펠러는 철도 회사들로부터 경쟁사들이 운송하는 석유에 대해서도 일종의 ‘수수료’를 받는 방식을 고안했습니다. 즉, 경쟁사가 철도를 이용해 석유를 운송할 때마다, 철도 회사는 스탠더드 오일에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이를 통해, 경쟁업체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비용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그는 독립적인 석유 생산자들을 억압하며 정유업계의 독점권을 확보했습니다.
3) 리베이트 시스템의 효과
- 경쟁사 압박: 경쟁사들은 높은 운송비로 인해 석유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었으며,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시장 독점: 스탠더드 오일은 운송비 절감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며, 미국 석유 시장의 약 90%를 독점하게 되었습니다.
- 철도 회사 의존성: 철도 회사들 또한 스탠더드 오일과의 계약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록펠러의 협상력이 더 강해졌습니다.
4) 법적 및 윤리적 논란
이 리베이트 시스템은 당시 윤리적으로나 법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소규모 경쟁사들은 이런 불공정한 관행 때문에 사업을 유지할 수 없었고, 이는 결국 1890년 셔먼 반독점법과 같은 법률을 통해 규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록펠러는 1880년대에 철강 산업에도 관심을 가지고 메사비 대광산(Mesabi Range)을 매입하여 철강 사업에 진출하려 했습니다. 이로 인해, 강철왕 앤드루 카네기와 경쟁 관계과 되기도 했지만, 카네기의 사업을 인수한 존 피어폰트 모건에게 대광산 채굴권을 넘김으로써 모건의 철강사업 트러스트 형성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4. 1890년: 트러스트 설립과 법적 대응
- 록펠러는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를 설립해 미국 내 자회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했습니다.
- 그러나 오하이오주 법원이 1890년 제정된 *셔먼 반독점법(Sherman Antitrust Act)* 위반으로 트러스트 해체를 명령하자, 스탠더드 오일은 해체됐지만, 록펠러는 지주 회사 형태로 자산을 유지하며 법의 허점을 이용했습니다. 록펠러는 본사를 뉴저지 주로 이전했습니다.
- 스탠다드 오일(So)은 뉴저지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여러 자회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분리로 인해 스탠다드 오일의 주식 시장에서의 가치가 최소 2배 이상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기존에 스탠다드 오일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던 록펠러는, 자회사 분리로 인해 스탠다드 오일 전체 주식의 25%를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스탠다드 오일은 존속성을 유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른 주주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주식가치가 2배 이상 올랐으니까…)
5. 1911년: 대법원 판결로 회사 분리
- 미국 대법원은 반독점법 위반으로 스탠더드 오일을 34개 독립 회사로 분리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 주요 회사로는 엑슨(Exxon), 모빌(Mobil), 셰브런(Chevron)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독립적인 대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 1999년, 엑슨과 모빌이 합병해 엑슨모빌이 탄생했으며, 이는 현재 세계 최대 석유 기업 중 하나입니다.
“도둑놈보다 나을 게 없다”
– 스탠더드 오일 재판 중 한 판사가 했던 말.
- [시각 자료]: 분리 전후의 조직도를 비교하는 다이어그램.
6. 록펠러의 부와 영향력
- 록펠러의 재산은 포브스 기준 3183억 달러(318조 원)로 평가되며, 인류 역사상 가장 부유한 사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그의 부는 당시 석유 산업의 독점을 통해 축적되었으며, 이는 현대 대기업의 성장 방식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 오늘날 대기업들의 기업구조와 자선 활동(록펠러 재단)의 모델을 제시하며, 경제 및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요약/정리
1839: 뉴욕 북부의 작은 마을 리치포드에서 태어남.
1855: 고등학교 중퇴 후, 회계직에서 경력을 시작.
1863: 스탠더드 오일 설립.
1880: 미국 석유 시장의 90%를 점유.
1890: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 설립 및 뉴저지로 본사 이전.
1911: 대법원의 판결로 스탠더드 오일이 34개 회사로 분리.
#사례 비교
록펠러와 같은 시대를 풍미했던 다른 유명 기업들과 비교해보았습니다.
특히, 카네기와는 비슷한 점이 많아 자주 비교가 되곤 합니다.
- 엔론은 1990년대 초 파생상품을 활용해 자산을 부풀렸지만, 부정 회계로 인해 파산했습니다.
- 밴더빌트는 철도와 선박 업계에서 경쟁자를 압박하고 독점적인 이익을 누렸습니다. 록펠러와 비슷하게 밴더빌트도 법적 회색 지대를 활용했지만, 그의 방법은 물리적 자산(철도)에 집중되었습니다.
록펠러와 카네기
자본주의 거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 자수성가: 둘 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스스로 성공을 일궜습니다.
- 산업 혁신: 록펠러는 석유, 카네기는 철강 산업에서 새로운 기술과 효율성을 도입했습니다.
- 자선 활동: 두 사람 모두 부의 상당 부분을 사회에 환원하며 자선 사업에 앞장섰습니다.
차이점
- 산업: 록펠러는 석유, 카네기는 철강 산업의 거인이었습니다.
- 경영 방식: 록펠러는 독점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 반면, 카네기는 인재를 중시하며 수평적 통합 전략을 구사했습니다.
- 평가: 록펠러는 법망을 피해간 사례로 비판받았으나, 카네기는 직원 처우 개선과 노동 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보였습니다.
록펠러의 명언
“Don’t be afraid to give up the good to go for the great.”
→ “위대한 것을 추구하기 위해 좋은 것을 포기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The secret of success is to do the common thing uncommonly well.”
→ “성공의 비결은 평범한 일을 비범하게 잘 해내는 것이다.”
“I always tried to turn every disaster into an opportunity.”
→ “나는 항상 모든 재앙을 기회로 바꾸려 했다.”
“I would rather earn 1% off a 100 people’s efforts than 100% of my own efforts.”
→ “내 노력 100%의 수익보다 100명의 노력에서 1%를 얻는 것이 낫다.”
“Charity is injurious unless it helps the recipient to become independent.”
→ “자선은 받는 사람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지 않는다면 해로운 것이다.”
“If your only goal is to become rich, you will never achieve it.”
→ “당신의 유일한 목표가 부자가 되는 것이라면, 결코 이루지 못할 것이다.”
마치며 : 현대 자본주의의 양면성을 보여준 록펠러
존 D. 록펠러는 단순히 부자였던 것을 넘어, 현대 경제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생애는 사업적 혁신과 사회적 논란의 결합체로, 성공과 윤리적 고민이 공존했던 자본주의 시대를 상징합니다.
현대 경제 시스템에 미친 록펠러의 영향
‘냉혈 석유왕’과 ‘기부천사’
존 D. 록펠러에 대한 상반된 평가
긍정적 평가
- 자선 사업의 본보기
- 록펠러 재단 설립, 대학(시카고대, 록펠러대학) 지원 등을 통해 학문과 과학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이는 오늘날 기업가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의식을 심어줬습니다.
2. 경제 혁신: 대기업 구조와 경영 전략의 발전
- 석유 산업의 현대화를 이끌며 미국의 산업화에 기여했습니다.
- 록펠러는 수직 통합(생산, 정유, 운송, 유통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 이 모델은 현대 대기업들이 비용 절감과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 표준이 되었습니다.
부정적 평가
1. 독점과 불공정 거래: 독점을 통해 경쟁사를 제거하고 시장을 지배했습니다.
- 록펠러의 독점 사례는 미국에서 셔먼 반독점법의 엄격한 적용을 촉진했습니다.
- 오늘날 반독점 규제는 구글, 애플, 아마존 같은 IT 대기업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2. 노동자 착취: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과 낮은 임금을 방치했습니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한편으로는 대기업의 혁신을, 또 한편으로는 독점의 폐해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의 이야기는 자본주의의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자본주의의 장점과 단점, 록펠러의 교훈
자본주의의 장점
- 효율성: 경쟁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기술 발전을 이끌어냄.
- 부 창출: 개인과 기업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으로 부를 축적할 기회를 제공.
- 소비자 선택: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
자본주의의 단점
- 독점 문제: 록펠러 사례처럼 시장 지배 기업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
- 소득 불평등: 부의 편중으로 계층 간 격차 심화.
- 윤리적 문제: 단기 이익을 위해 환경 파괴, 노동 착취 등이 발생할 수 있음.
록펠러의 교훈
- 자본주의는 규제가 필요하다
- 록펠러의 독점 사례는 공정한 경쟁을 위한 법적 규제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 성공의 대가
- 경제적 성공은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판단을 동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부는 목적이 아니라 수단
- 록펠러는 부를 사회에 환원하며 자본의 공공적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성공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성공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만든 인물이라고나 할까요.
🍀 성공스토리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 19세기 철도 제국의 제독
😎 타산지석, 실패스토리
토이저러스(Toysrus) 분석을 통한 기업투자전략 – feat. 스토케(Stokke)와 비교분석
🤓 알면 돈이 되는 상식, 관련글
방귀세 – 덴마크에서 세계 최초로 가축에 대한 탄소세 도입!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