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사업가 #19세기 미국 #성공스토리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 #철도제국의 제독 #Cornelius Vanderbilt #the Commodore
🍀 성공스토리
🤓 알면 돈이 되는 상식, 관련글
방귀세 – 덴마크에서 세계 최초로 가축에 대한 탄소세 도입!
😎 타산지석, 실패스토리
토이저러스(Toysrus) 분석을 통한 기업투자전략 – feat. 스토케(Stokke)와 비교분석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 미국 철도와 해운의 거물
한국에서는 앤드류 카네, 존 록펠러, 핸리 포드의 이야기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Cornelius Vanderbilt)의 성공 스토리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the Commodore(해군 제독, 준장)”라는 별명으로 불린 그는 19세기 미국 철도와 해운 산업을 지배하며 엄청난 부를 축적했습니다. 오늘은 그의 성공 비결과 흥미로운 일화들, 그리고 위법행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성공을 거둘 수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생과 사망
- Born: May 27, 1794, Staten Island, New York, U.S.
- Died: January 4, 1877 (aged 82), Manhattan, New York, U.S.
초기 생애와 시작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1794년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아버지의 선박 회사에서 일을 도와드리다가 11살에 학교를 그만두었고, 16세 때부터 본격적으로 해운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아버지로부터 작은 범선을 빌려 뉴욕 항구에서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1812년 미국이 영국과의 전쟁에 돌입하면서 벤더빌트는 미국 정부로부터 뉴욕 시를 방어하는 여러 요새에 공급품을 운반하는 계약을 받았습니다. 전쟁이 끝날 때쯤, 그는 작은 배 함대와 1만 달러의 운영 자본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 배들을 이용해 보스턴에서부터 델라웨어 베이까지 승객과 화물을 운송했습니다. 그러나 1818년, 더 강력하고 큰 증기선이 그의 영토를 갈라가며 그의 사업이 위축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신만의 증기 엔진을 설계하고, 선박 운영을 엄격한 일정에 맞추어 운영했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긴 시간 일했으며, 경쟁자를 몰아내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그는 세계에서 가장 큰 배송 제국을 건설하게 되었습니다.

허드슨 강에서의 경쟁
1834년,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뉴욕 시와 올버니 항로의 증기선 독점권을 가지고 있던 허드슨 강 증기선 협회와 경쟁하게 되었습니다. 밴더빌트는 “The People’s Line”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앤드루 잭슨 대통령과 연관된 표퓰리즘을 이용해 대중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그 해 말, 독점권을 갖고 있던 협회는 밴더빌트에게 경쟁을 중단해달라고 큰 돈을 지불했고, 그는 사업을 롱아일랜드 사운드로 옮겼습니다.
롱아일랜드 사운드
사업적 감각
1830년대 동안, 뉴잉글랜드 지역에는 많은 직물 공장(textile mills)이 건설되었고, 미국의 제조 기반이 발전했습니다. 보스턴에서 롱아일랜드 사운드까지의 첫 번째 철도들이 건설되었으며, 이들은 뉴욕으로 가는 증기선과 연결되었습니다.
전략적 M&A
1830년대 말, 밴더빌트는 사운드에서 증기선 사업을 장악하게 되었고, 이와 연결된 철도 사업의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1840년부터 가장 매력적인 노선인 뉴욕, 프로비던스, 보스턴 철도(일명 스토닝턴)를 인수하려는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경쟁 노선의 요금을 낮추어 스토닝턴의 주가를 떨어뜨린 후, 1847년에 회사의 사장이 되었습니다. 이는 그가 훗날 이끌었던 많은 철도회사들 중 첫 번째 회사입니다.
다방면의 사업 운영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여러 다른 사업들도 운영했습니다. 그는 맨해튼과 스태튼 아일랜드에 많은 부동산을 구입하고, 1838년에는 스태튼 아일랜드 페리를 인수했습니다. 1830년대에 처음으로 “해군 제독 (the Commodore)”라는 칭호를 받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 이 별명은 평생 그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1840년대 말에는 이 칭호가 밴더빌트에게만 사용되었고, 그는 타고난 사업 감각으로 수십 년간 해운업에서 거대한 부를 축적하며 강력한 기업가로 성장했습니다.
골드러시와 해양 증기선 사업 전환
1849년 캘리포니아 골드러시가 시작되자, 밴더빌트는 국지적인 증기선 사업에서 해양으로까지 확장된 증기선 사업으로 전환했습니다. 많은 이주자들과 동부 해안으로 돌아오는 거의 모든 금이 증기선을 타고 파나마로 가서 노새와 카누로 이스미스를 건너는 방식으로 이동했습니다. 곧 더 빠른 이동을 위해 파나마 철도가 건설되었습니다.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미국에 더 가까운 니카라과에 운하를 건설하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니카라과는 대부분의 구간이 니카라과 호수와 산 후안 강으로 연결되어 있어 운하 건설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를 충분히 끌어모으지 못해 운하를 건설하지는 못했습니다.
대신, 그는 니카라과로 가는 증기선 노선을 시작하고, 니카라과 호수와 강을 따라 승객을 운송하는 악세서리 트랜싯 컴퍼니(Accessory Transit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이 회사는 태평양의 산 후안 델 수르 항구와 니카라과 호수의 버진 베이를 연결하는 12마일(약 19킬로미터)의 도로를 통해 승객을 운송했습니다.
조셉 L. 화이트와의 분쟁
1853년, 코르넬리우스 벤더빌트의 동료들은 벤더빌트를 이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벤더빌트가 휴가 중이던 동안, 악세서리 트랜싯 컴퍼니의 파트너였던 조셉 L. 화이트가 그의 가장 유리한 배송 노선을 차지했습니다. 이에 벤더빌트는 그들에게 유명한 편지를 보냈습니다.
“Gentlemen you have undertaken to cheat me I will not sue you for the law takes too long I will ruin you”
“신사들, 여러분은 나를 속이기로 결심했군요. 나는 여러분을 소송하지 않을 것입니다. 법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나는 여러분을 망치겠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의 말을 실현했습니다. 벤더빌트는 자신의 위치를 되찾았고, 한 해 만에 그의 경쟁자들은 모두 사업을 포기했습니다. 이로써 벤더빌트는 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증기선 운영자가 되었습니다.
1861년이 다가오던 때, 벤더빌트는 자신의 증기선 회사를 매각하고 그의 모든 자금을 새로운 교통 수단인 철도에 투자했습니다. 증기 엔진의 혁신은 물 위에서 먼저 시작되었고, 그 후에는 땅 위에서도 이루어졌습니다. 벤더빌트는 철도에서도 같은 엔진을 사용했습니다.
대서양 횡단 증기선 사업
적대적 M&A와 전략적 M&A
그 후, 그는 대서양 횡단 증기선 사업에 눈을 돌려 에드워드 K. 콜린스가 이끄는 대규모 보조금을 받는 콜린스 라인과 경쟁했습니다. 밴더빌트는 결국 콜린스 라인을 파산시켰습니다. 밴더빌트는 또한 맨해튼에 있는 주요 조선소와 선박용 증기 엔진의 주요 제조업체인 알레어 아이언 웍스를 인수했습니다.
니카라과 정부와의 갈등
1855년 11월,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다시 한 번 악세서리 트랜싯의 지분을 매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해, 미국의 군사 모험가 윌리엄 워커가 니카라과로 원정을 떠나 잠시 정부를 장악했습니다.
워커의 가까운 친구인 에드먼드 랜돌프는 악세서리 트랜싯의 샌프란시스코 대리인인 코넬리어스 K. 개리슨을 협박하여 밴더빌트를 반대하게 만들었습니다. 랜돌프는 워커를 설득해 악세서리 트랜싯 컴퍼니의 헌장을 취소하고, 운송 권리와 회사의 증기선을 자신에게 넘기도록 했습니다. 랜돌프는 이를 개리슨에게 팔았습니다. 개리슨은 뉴욕에서 찰스 모건을 이 계획에 끌어들였습니다. 밴더빌트는 이러한 발전이 발표되기 직전에 회사를 장악했습니다.
밴더빌트가 미국과 영국 정부에 회사를 원래 권리와 재산으로 되돌려 줄 것을 설득하려 했지만, 그들은 거부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코스타리카와 협상했으며, 코스타리카를 포함한 다른 중앙아메리카 공화국들은 워커에게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밴더빌트는 코스타리카로 사람을 보내 산 후안 강에 있는 증기선을 장악하는 공습을 주도하게 했고, 워커는 미국에서 온 반란군의 지원군과 단절되었습니다. 워커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미국 해군 장교에 의해 나라에서 쫓겨났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니카라과 정부는 밴더빌트가 운송 사업을 재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파나마를 경유하는 노선을 시작했고, 결국 캘리포니아 증기선 사업에서 독점권을 개발했습니다
남북 전쟁과 철도 제국의 시작

1861년에 남북 전쟁이 시작되자, 나라가 교통 시스템이 필요할 것임을 경험상 알고 있었던 코르넬리우스 벤더빌트는 철도에 대규모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허드슨 리버 철도(Hudson River Railroad)를 통해 그는 나라 한 끝에서 다른 끝까지 상품을 운송했습니다.
전쟁은 4년 동안 지속되었고, 불행히도 62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이 인원에는 벤더빌트의 아들 조지도 포함되었습니다. 조지는 벤더빌트가 사업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인물이었습니다. 아들을 잃은 충격으로 인해 그는 감정적으로 힘들어졌고, 이는 그의 사업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벤더빌트는 그 당시에 72세로, 당시의 평균 수명을 넘었습니다. 그의 경쟁자인 뉴욕 센트럴 철도(New York Central Railroad)는 이를 약점으로 보고, 부정직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벤더빌트를 가볍게 본 것입니다.
그 시절 벤더빌트는 뉴욕 시내로 통하는 유일한 철도 교량인 허드슨 리버 브리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이 교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철도를 연결했고, 벤더빌트는 경쟁 철도의 교통을 차단하여 수백만 달러 규모의 화물이 뉴욕 시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습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주식을 가치가 없어지기 전에 판매하기 시작했고, 월스트리트가 대규모 매도를 인지하면서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벤더빌트는 이 기회를 잡아 뉴욕 센트럴 주식을 싸게 사들였습니다. 단 몇 일 만에 그는 미국에서 가장 큰 단일 철도 회사를 만들었고, 두 회사를 합쳐 뉴욕 센트럴 앤드 허드슨 리버 철도(New York Central and Hudson River Railroad)를 형성했습니다.
곧 철도는 미국 전역을 연결하게 되었고, 벤더빌트는 내전 전에 설계된 작은 철도 노선을 채택하여 큰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 과정에서 18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미국 철도의 40%를 소유하게 되었고, 1869년에는 도시 중심부에 주요 허브를 건설하여 하블럼(Harlem), 허드슨(Hudson), 뉴욕 센트럴(NY Central) 세 개의 새로운 노선을 연결했습니다. 이후 미국에서 가장 큰 기차역 건설이 시작되었고, 건설에는 거의 2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 기차역은 그랜드 센트럴 디포(Grand Central Depot)로 불리며 오늘날 뉴욕의 그랜드 센트럴 역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870년까지 벤더빌트의 철도 제국은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철도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가장 큰 철도가 되었습니다. 그의 거대한 기차 구조와 새로운 역을 감안할 때, 벤더빌트는 더 이상 승객과 작은 화물만으로 기차를 운영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기차 운행을 유지하기 위해 그는 케로신(Kerosene)에 시선을 돌렸습니다. 케로신 이전에는 일반 미국인이 밤에 빛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벤더빌트는 철도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차에 케로신을 태우기 시작하기로 했고, 이를 위해 화물을 공급할 공급업자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오일이 풍부히 나오는 클리블랜드에서 케로신 제련소를 찾아내었고, 이 제련소는 존 D 락펠러가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27세의 락펠러는 뉴욕에서 벤더빌트를 만나 거래를 체결했습니다. 이후 락펠러의 석유가 벤더빌트의 기차에 공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케로신은 일반적으로 옅은 노란색이나 무색을 하며, 특징적인 냄새가 있습니다. 석유에서 추출되며, 케로신 램프나 가정용 히터, 난로에서 연소하는 연료로 사용되거나 제트 엔진의 연료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그리고 그리스나 살충제의 용제로도 사용됩니다.
1873년, 그의 생애 말기에 벤더빌트의 부인 프랭크는 그를 테네시주에 있는 메소디스트 대학교를 후원하도록 도와준 홀랜드 님몬스 맥타이어 목사를 소개했습니다. 토론이 수 년간 이어지고, 그의 사망 시점에 벤더빌트는 벤더빌트 대학이 될 곳에 약 100만 달러에 달하는 기부를 약속했습니다.
코넬리어스 벤더빌트는 1877년 1월 4일, 82세의 나이에 맨해튼 자택에서 별세하였으며, 스태튼 아일랜드에 묻혔습니다. 그는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자식 윌리엄 헨리 벤더빌트에게 남겼습니다(1,0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정). 윌리엄은 허드슨 리버 철도에서 그와 함께 일했습니다. 또한 윌리엄의 네 명의 아들들에게 각각 750만 달러를 남겼습니다. 그의 부인과 딸들은 20만 달러에서 50만 달러 사이의 금액과 주식 및 재산을 받았습니다.
오늘날에는 코넬리어스 벤더빌트의 순자산이 1,80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그는 바다와 땅에서 교통을 지배한 인물로 기억되며, 그를 계승한 기업인들에게 길을 열어준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성공 비결
- 근면 : 밴더빌트는 어린 시절부터 근면과 사업 감각을 바탕으로 일관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 시장 분석: 그는 해운업에서 철도 산업으로의 전환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고 과감하게 투자했습니다.
- 경쟁 전략: 경쟁자들을 무자비하게 밀어내며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했습니다.
- 사업감각: 정책의 변화나 경쟁자들의 방해에도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만들어내었습니다.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 명언
- “If I had learned education, I would not have had time to learn anything else.”입니다. 이는 11살에 학교를 중퇴하고 사업에 뛰어든 그의 삶과 실용적인 사고방식을 잘 보여줍니다.
-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가 철도 제국을 확장하는 사업적 거래를 마친 직후, 사업 자문가 중 한 사람이 그가 체결하기로 한 모든 거래가 법률 위반이라고 알려주자 밴더빌트가 한 말입니다. “My God, John. You don’t suppose you can run a railroad in accordance with the statutes of the State of New York, do you?”
어디까지가 행운이고, 어디서부터가 리스크일까? 위법을 통해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둔 밴더빌트와 위법(분식회계)으로 망한 엔론이 비교가 됩니다.
엔론(Enron)과의 비교
밴더빌트와 엔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엔론은 2001년 회계 부정으로 파산했지만, 밴더빌트는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위법행위에도 불구하고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뒀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 지배력: 밴더빌트는 철도와 해운 산업에서의 독점적 위치를 유지하며 시장을 지배했습니다.
- 정치적 인맥: 그는 정치적 인맥을 통해 자신의 사업을 보호하고 확장했습니다.
- 법적 허점 활용: 당시의 법적 허점을 잘 활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했습니다.
마치며…
코르넬리우스 밴더빌트는 19세기 미국 산업화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그의 근면, 타고난 사업 감각, 그리고 철저한 경쟁 전략은 그를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가로 만들었습니다.
그의 성공 비결과 흥미로운 일화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밴더빌트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업가 중 하나였으며, 전략적 경영과 대담한 사업 확장은 현대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줍니다. 그의 도전적인 사업 전환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당대에 큰 성공을 거두었고, 오늘날에도 그의 대담한 경영 전략은 많은 이들에게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